요양기관 및 종사자의 행정처분 기준에 대해
-
카테고리
장기요양
-
작성일
2025.01.22
오늘은 노인장기요양기관 현지조사 후 요양시설에 종사하는 시설장 물리치료사 사회복지사 조리원 요양보호사 간호조무사 등 ..
종사자들의 행정처분과 요양기관에 대한 행정처분을 살펴보겠습니다
장기요양기관을 운영하신다면 장기요양기관의 시설, 인력 및 수급자 현황, 장기요양급여 관련 서류의 기록・관리 여부, 장기요양급여 비용 청구의 적정성이나
실제 서비스 제공여부, 노인 학대와 같은 인권침해여부 등 관계 법령이나 고시 등 제반 기준을 준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현지조사에 대비해 철저하게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지조사결과에 따른 처분에 대해 숙지하셔야 되는데요.
현지조사결과에 따른 처분은 부당이득금 징수, 행정처분, 과태료 부과처분이 있습니다.
그중 현지조사결과 따른 처분 중 행정처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분 | 행처분의 종류 |
장기요양기관 | 경고, 업무정지(6개월 범위 내), 지정취소 |
장기요양기관의 종사자 | 장기요양급여 제공의 제한(6개월, 12개월) |
행정처분은 장기요양기관과 장기요양기관의 종사자 이렇게 구분이되며,
장기요양기관의 경우 경고, 업무정지(6개월 범위 내), 지정취소로
장기요양기관의 종사자의 경우 장기요양급여 제공의 제한(6개월, 12개월)로 처분이 내려집니다.
▶ 행정처분의 절차는
청문실시-의견검토 및 처분 확정-행정처분의 통지 및 실시로 이루어 집니다.
청문실시 | ▶ | 의견검토 및 처분 확정 | ▶ | 행정처분의 통지 및 실시 |
처분당사자에게 청문이 시작되는 날로부터 10일 전까지 처분사전통지를 서면 통보 | 창문에서 제출된 의견 검토 등 청문실시 결과를 검토하고 행정처분 확정 | 행정처분 확정 후 그 결과를 처분대상자에게 통지하고 처분 실시 |
▶ 행정처분의 기준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규칙 [별표 2] <개정 2020.9.29>)
요양원 주간보호시설에 대한 현지조사 후 과태료 부과기준에 대해 살펴보면,
장기요양기관을 운영하신다면 장기요양기관의 시설, 인력 및 수급자 현황, 장기요양급여 관련 서류의 기록・관리 여부,
장기요양급여 비용 청구의 적정성이나 실제 서비스 제공여부, 노인 학대와 같은 인권침해여부 등 관계 법령이나 고시 등 제반 기준을 준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현지조사에 대비해 철저하게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지조사결과에 따른 처분에 대해 숙지하셔야 되는데요.
현지조사결과에 따른 처분은 부당이득금 징수, 행정처분, 과태료 부과처분이 있습니다.
그중 현지조사결과 따른 처분 중 과태료부과처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과태료 부과처분 절차
과태료 부과처분 사전통지 및 의견제출 안내 | ▶ | 의견검토 및 처분 확정 | ▶ | 행정처분의 통지 및 실시 |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은 행정처분 확정 후 과태료 부과처분을 사전통지 | 10일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과태료 처분 대상자에게 의견 진술 기회 제공, 지정된 날까지 의견을 제출하지 않면 의견이 없는 것으로 간주 |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제출된 의견을 검토하여 과태료 부과 |
→ 과태료 부과 기준
- 법 제69조 및 시행령 제 29조 [별표 3] '과태료 부과기준'에 따라 장기요양기관(기관기호)단위별·각 위반행위별 위반행위자에게 과태료 부과
※ 『질서위반행위규제법』 제13조에 따라 하나의 행위가 2개 이상의 질서위반행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각 질서위반행위에 대하여 정한 과태료 중 가장 중한 과태료만 부과
- 위반행위 발생일 기준으로 과태료 부과금에 구분
※ 위반행위 발생일: 장기요양급여비용 청구일 기준
행정심판전문센터에서 구제한 사건 중
대표적인 환수처분 위반코드 유형 별 구제 사례
클릭하면 바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노인장기요양기관 업무정지를 과징금으로 과징금을 1/2감경한 사례
3. 사회복지사가 업무일지 미작성으로 인력배치기준 위반 가산 환수처분 구제 사례
4, 종사자가 월기준근무시간을 충족하지 못해 환수처분 구제 사례
5. 전남 00요양원 업무정지를 과징금으로 변경해주고, 다시 감경해준 사례
6. 주야간보호센터와 방문요양에 대한 환수처분 중 주야간보호 일부 환수처분 감경사례
7. 요양원 <정원초과><인력배치기준> 환수처분 구제한 사례
9. <전량위탁급식 위반> 조리원 미배치라고 환수처분했으나 구제한 사례
10. <방문요양사회복지사 배치가산기준><연속급여제공기준> 환수처분 구제 사례
11. <당월서비스 미제공> 서비스시간 일수 늘려서청구 환수처분 구제 사례
13. 사회복지사 <급여제공제한 6개월 정지> 구제한 사례
14. <인력배치기준> 및 인력추가배치가산 환수처분 구제 사례